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적정 공기압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에 대해서 알아보자

겨울철에는 추운 날씨에 눈이나 비로 인한 빙판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미끄럼으로 인한 위험이 큰 계절입니다. 겨울철 미끄럼으로 인한 위험은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 유지만으로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이상 확인 방법

요즘 차량에는 센서가 많이 발달하고, 과거 고급형 차량에만 장착되던 기능들이 보급형에도 많이 장착되거나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수 많은 센서 중에서 타이어 공기압 관련 된 기능은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이 있습니다. TPMS는 자동차 휠에 장착되는 센서로 평상시에는 외부에 관찰되지 않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영어 해석 그대로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센서입니다.
공기압이 너무 높거나 낮은 문제가 발생하면 자동차 계기판에서 알림 메세지와 주황색 타이어 그림 경고등으로 그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적정 공기압
현대차 계기판 내 타이어 공기압 표시 화면

타이어 적정 공기압

자동차 운전석 문을 열면 각 제조사에서 해당 차량 운행시 권장하는 적정 공기압이 있습니다. 차량마다 권장 압력이 다르므로 운행하는 차량의 권장 압력이 얼마인지 직접 확인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는 33~35 PSI, SUV는 35~36 PSI 범위의 압력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주변 온도가 다른 계절 대비 크게 차이나는 낮은 온도가 유지되기 때문에 타이어의 공기압이 쉽게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에 차량이 주차상태로 오래 유지 되는 경우에 공기압이 낮아진다거나, 운행 시 타이어 압력이 낮다는 경고 알람을 보실 수 있습니다.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은 상온의 다른 계절때보다 공기압을 약 10% 정도 더 주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 정비소에 타이어 어 공기압 점검을 가시게되면, 겨울철 기본 세팅값이 39 정도로 조금 더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운전석 문틀에 부착 된 타이어 표준 권장 공기압

타이어 공기압은 주행 시 제동성능에 큰 영향을 끼칠뿐만 아니라, 접지면의 변화로 인한 타이어 마모량 증가 및 편마모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타이어 경고등이 주행이 큰 문제 없다고 판단되는 상황이라도 가능하면 빠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안전 운전을 위해 꼭 필요한 대응입니다.